전체 글
-
10. 링크 계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6. 09:12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링크 계층 소개 이전에 쓰였던 노드와 링크 개념이 여기서도 계속 쓰인다. - 노드: 호스트, 라우터, 스위치, ... - 링크: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통신 채널 링크 계층에서는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캡슐화하여 링크로 전송한다. (트랜스포트 계층 - 세그먼트,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그램) 1.1 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 - 기본 기능: 링크에서 데이터그램을 한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이동하는 것 - 프레임화: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캡슐화 - 신뢰적 전달: 트랜스포트 계층의 신뢰적 전달처럼 ack와 retransmission을 한다. - 흐름 제어: 수신자의 속도가 느리면 송신..
-
9. OSPF, BGP, SDN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3. 01:54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Autonomous System (AS) 이전에서 배운 라우팅 알고리즘은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설계 자체가 굉장히 단순하다는 것으로 굉장히 이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아래 두가지 이유 때문에 복잡한 상황이 나오게 된다. 1) 라우터 수는 굉장히 많기 때문에 라우터가 모든 정보를 담아내기엔 메모리가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수없이 반복하게 되는 DV 알고리즘은 계속해서 돌아가지만 최소 비용 거리를 찾아내기가 굉장히 힘들어진다. 2) 라우터를 만든 회사도 다르고, 인터넷을 제공하는 회사도 다르다. 그래서 이것을 서로 연결하는 일이 필..
-
8. NAT, IPv6, ICMP, Routing Algorithm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5. 30. 17:10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한 구역의 네트워크는 사설망을 이용하여 10.0.0.X로 서로 소통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럴 경우 하나의 IP 주소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와 소통을 하려면 무조건 라우터를 통해 패킷을 주고 받는다. 외부에 있던 정보가 내부로 들어와서 전달을 해야한다면 NAT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내부 호스트에 전달을 한다. 2. IPv6 가정마다 최소 1대씩은 PC가 생기니까 IPv4는 2011년에 고갈되버렸고, 고갈되기전에 IPv4의 다음 버전인 IPv6이 개발이 시작되었다. 1) IPv6의 데이터그램 포맷 추가된 점 1. 확장된 주소: IPv4에서는..
-
7. 네트워크 계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5. 27. 17:00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네트워크 계층 개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제공한다면,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호스트 사이의 통신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는지에 대해 보여준다. 여기서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있던 세그먼트를 받아 각 세그먼트를 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한다. 1.1 네트워크 계층 개요 호스트 A와 호스트 B가 있고, 호스트 A가 호스트 B에게 패킷을 보낼 때를 가정해보자 그러면 호스트 A에서는 트랜스포트 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받아 각 세그먼트를 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하고, 인접한 라우터에게 데이터그램을 보낸다. 이후 호스트 B에게 데이터그램이 도착했으면 네트워크 계층에서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트랜스포..
-
6. 혼잡 제어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5. 24. 21:54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혼잡제어의 원리 흐름제어와 혼잡제어의 공통점은 송신자가 너무 많은 데이터를 보내는 것에서 출발하기 시작한다는 것이고, 흐름제어와 혼잡제어의 차이점은 흐름제어는 송신자-수신자의 관계, 혼잡제어는 송신자-네트워크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1장에서 라우터가 패킷을 처리하기 전에 큐에 들어간다는 것을 배운적이 있었다. 그런데 라우터는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 처리할 수 있어서 많은 수의 패킷이 들어오게 되면 아직 처리를 못한 패킷은 큐에 저장을 한다. 이때 큐의 용량이 꽉차게 되면 패킷 손실이 일어난다는 배웠다. 그래서 혼잡제어란 이런 네트워크의 처리 속도가 송신자의 전송 속도를 따라잡을 ..
-
5. 파이프라인 프로토콜, TCP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5. 24. 17:13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파이프라인된 신뢰적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rdt 3.0의 경우에는 왼쪽 그림과 같이 데이터 패킷을 보내면 패킷을 받기전까지 아무일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는데,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은 패킷을 1개만 보내지 않고 한 번 보낼 때 여러개를 보내는 것이다. 왼쪽이 sender이고, 오른쪽이 receiver인데, 송신측에서 한 번에 패킷을 여러개 보낸다. 이후 패킷을 보낸 처음 데이터가 ACK을 sender에게 보내면 두번째 패킷을 한 번에 보내게 된다. 이런 과정을 반복한다.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에서도 오류가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프로토콜 모델이..
-
4. 트랜스포트 계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5. 23. 19:19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 및 개요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들 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여기서 논리적 통신이란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볼 때 프로세스들이 동작하는 호스트들이 서로 직접 연결이 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우리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는 메시지라고 불렀지만,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는 메시지를 작게 분할하여 이런 분할된 조각 한 개를 세그먼트라고 부르게 된다. 이게 트랜스포트 계층에서의 기본 단위라서 앞으로 세그먼트라고 하면 이런 뜻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기본 단위는 데이터그램인데, 트랜스포트 계층..
-
multiprocessing Error 체크리스트학교 수업/3-1 머신러닝, 추천시스템 2022. 5. 19. 20:27
에러 나올 때마다 정신 나갈 것 같아서 에러가 나오고 해결할 때마다 따로 기록함 1. 전역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가? 2. 전역 변수와 함수 파라미터 이름이 같은가? 3. Jupyter Notebook으로 진행할 경우, worker 함수를 가진 파일을 따로 만들어서 import 했는가? 4. 현재 Proces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5. 파라미터를 의도한 대로 제대로 넣었는가? (제대로 넣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