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컴퓨터 네트워크
-
[Network]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5. 1. 31. 23:03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 DNS- Load Balancing 위 내용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해서 적었다. 왜 GSLB가 나오게 됐을까?나름대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물리적인 거리의 한계유럽에서 살고 있는 사용자가 티스토리에 접속한다고 가정해보자. 사이트가 마법처럼 뿅하고 바로 접속되는 것이 아니니 어떤 과정을 거칠 것이다. 마침 티스토리의 데이터센터가 한국에만 있다고 해보자. 보통 우리가 네트워크 패킷을 주고 받았을 때의 과정을 공부했던 것을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사용자 컴퓨터에서 시작해 유럽의 어느 통신사 DNS에 도착할테고, 해당 DNS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티스토리의 IP 주소를 알려줄 것이다. 이때 IP 주소는 티스토리의 데이터센터가 한국에만 있다고 가정했으니 한국의 IP 주소를 받을 것이다...
-
[Network] WebSocket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4. 6. 14. 16:22
1. 웹소켓에 대한 간단한 정보인터넷에 널리 알려진 내용부터 잠깐 살펴보고 가자. 먼저 웹소켓이 없었을 때부터 이야기할 예정이라 웹소켓만의 특징을 먼저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읽는게 도움이 된다. - HTTP와 같은 Application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서버가 먼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HTTP / HTTPS에서 Upgrade, Connection 헤더를 사용해 웹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은 소켓에 대해 알고 있어어한다. 아래 글을 보고 먼저 소켓에 대해 이해를 한 다음 글을 보는게 좋다.https://hello70825.tistory.com/598 [Network, OS] Socket, I/O Multiplexing, Event Lo..
-
[Network] HTTPS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4. 5. 21. 15:47
1. HTTP와 HTTPSHTTP와 HTTPS의 큰 차이점은 패킷이 암호화되냐, 암호화되지 않냐의 차이이다.HTTP는 80번 포트번호로 패킷을 주고 받고, HTTPS는 443 포트번호로 모든 통신을 진행하게 된다.아래 와이어샤크를 통해 패킷을 확인해보자 HTTP 패킷HTTPS 패킷 큰 흐름의 HTTP/HTTPS 트랜잭션 HTTP는 80번 포트를 통해 3-way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수립하고, 통신을 하다가 서로 주고 받을 패킷이 없으면 4-way handshake를 통해 통신을 종료한다.HTTPS는 살짝 다르게 3-way handshake를 한 이후 SSL handshake를 진행하고, 이후 통신을 끊을 때에는 SSL 닫힘 통지가 먼저 일어나는데, 이때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close_noti..
-
[컴퓨터 네트워크] 목차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15. 17:29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목차Ch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Ch 2. 애플리케이션 계층 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Web과 HTTP2. E-mail(SMTP, POP3, IMAP, HTTP), DNSCh 3. 트랜스포트 계층 1. 다중화와 역다중화, UDP, 신뢰적 데이터 전송(rdt)2. 파이프라인 프로토콜(BGN, SR), TCP3. 혼잡 제어Ch 4 ~ Ch 5. 네트워크 계층 1. VC와 Datagram 비교, 라우터, IPv4, Subnet, DHCP2. NAT, IPv6, ICMP, Routing Algorihm(Link State, Distance Vector..
-
12. 웹 페이지 요청에 대한 처리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15. 17:01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Link Layer까지 배우게 되면 마지막에 어떤 과정으로 작동을 하게 되는지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0. 상황 설명 학생 Bob이 학교의 이더넷 스위치에 노트북을 연결하고, 구글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1. 처음 네트워크를 연결하면 DHCP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얻기 1) DHCP 요청 메시지를 만들어서 UDP 세그먼트에 넣는데, 아직 Bob의 IP 주소도 모르고, 서버의 IP 주소도 모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세그먼트는 IP 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되고, 이후엔 이더넷 프레임으로 캡슐화된다. 2) Bo..
-
11. 스위치 근거리 네트워크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7. 16:02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링크 계층 주소체계과 ARP 호스트와 라우터는 링크 계층 주소를 가지는데, IP 주소를 링크 계층 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 정확히 링크 계층 주소는 호스트와 라우트의 어댑터 부분에서 가지게 되는데, 이런 링크 계층 주소는 우리가 많이 들어본 랜 주소(LAN), 물리 주소, MAC 주소라고 부른다. MAC 주소는 6바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2^48개로 표현 가능하고, 평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1.1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네트워크 계층 주소와 링..
-
10. 링크 계층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6. 09:12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링크 계층 소개 이전에 쓰였던 노드와 링크 개념이 여기서도 계속 쓰인다. - 노드: 호스트, 라우터, 스위치, ... - 링크: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통신 채널 링크 계층에서는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캡슐화하여 링크로 전송한다. (트랜스포트 계층 - 세그먼트,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그램) 1.1 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 - 기본 기능: 링크에서 데이터그램을 한 노드에서 인접 노드로 이동하는 것 - 프레임화: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캡슐화 - 신뢰적 전달: 트랜스포트 계층의 신뢰적 전달처럼 ack와 retransmission을 한다. - 흐름 제어: 수신자의 속도가 느리면 송신..
-
9. OSPF, BGP, SDN공부/컴퓨터 네트워크 2022. 6. 3. 01:54
이 글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1. Autonomous System (AS) 이전에서 배운 라우팅 알고리즘은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설계 자체가 굉장히 단순하다는 것으로 굉장히 이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아래 두가지 이유 때문에 복잡한 상황이 나오게 된다. 1) 라우터 수는 굉장히 많기 때문에 라우터가 모든 정보를 담아내기엔 메모리가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수없이 반복하게 되는 DV 알고리즘은 계속해서 돌아가지만 최소 비용 거리를 찾아내기가 굉장히 힘들어진다. 2) 라우터를 만든 회사도 다르고, 인터넷을 제공하는 회사도 다르다. 그래서 이것을 서로 연결하는 일이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