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기]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후기/책 후기 2025. 3. 2. 15:52반응형
저번주에 지인에게 추천 받아 바로 구매해서 지하철 타고 출근하는동안 틈틈히 읽은 책, 분량이 150페이지라서 마음만 먹으면 주말 하루안에 읽을 수도 있는 책이다.
책을 읽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1. 업무를 배정 받았는데, 기본적인 베이스는 레이어드 아키텍처지만 패키지 구조가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사알짝 다르고, 도메인 설계 이야기를 들었을 때, '아 ㅇㅇ이라는 단어는 ㅁㅁ 뜻을 가지고 있는거겠지?'라며 추측하며 이해했었다. 그래서 설명을 다 듣고나서 혼자 정리해가며 적어보니 아쉬운 느낌으로 이해가 된 상황이었다. 그래서 이왕 제대로 이해하기위해 구매한 책
2. 팀 회의 시간에 카카오페이 헥사고날 기술블로그 글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는데, 대화를 거의 따라가지 못한 내용도 영향을 받았다.
3. 현재 팀이 맡은 서비스중에 제일 작은 서비스 하나를 배우고 있는 상황이라 이걸 공부해두면 나중에 다른 서비스도 이해할 때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다.
솔직히 헥사고날 내용은 내 상황에서 굳이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내용이지만, 그래도 레이어드 아키텍처의 아쉬운 점이 무엇인지 설명해주고,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어떤 내용이 첨가했는지 공부한건 유익한 것 같다. 다만 내가 진짜 원하는 내용을 얻으려면 클린아키텍처 책을 읽어야 유용할듯. 책에 현재 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도 있지만, 내용이 클린 아키텍처가 아니라 거의 헥사고날에 치중되어 있다.
책의 장점으로는 처음에 헥사고날 구조를 보고, 내가 상상 코딩을 하면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야할까라는 막막함부터 들었다. 예를 들어서 adaptor, port, usecase 개념을 조금 알아도 '이걸 어떻게 코드로 작성할건데?' 하면 긴 시간을 고민해야 만들 수 있을까하는 수준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는 너무 떠먹는 수준의 코드까지 세세하게는 설명해주는 자료는 많지 않고 (그래서 분량이 적게 만들어질 수 있었는듯), 내가 충분히 생각할 수 있을 수준의 자료만 주어져서 책을 읽으면서 성장이 되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대신 한 페이지 넘기는데 좀 시간이 걸렸다.
이 책을 읽을만한 사람은 클린아키텍처 책은 너무 두꺼워서 읽기 거부감이 드는데, 헥사고날이 왜 나오게 됐는지 알아보고 싶은 사람에게 좋다. 특히 분량이 작아서 금방 해치울 수 있을 것이다.
아래 링크는 책 다 읽고 발표 스터디를 진행한 내용이다.
Backend-Study/WEEK26/111.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를 읽고 at master · kauKoala/Backend-Study
Contribute to kauKoala/Backend-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아래 링크는 책 읽으면서 같이 봤던 자료이다
https://tech.kakaopay.com/post/home-hexagonal-architecture/
Hexagonal Architecture, 진짜 하실 건가요? | 카카오페이 기술 블로그
카카오페이 홈 서버 개편 후 운영 과정에서 Hexagonal Architecture 아키텍처 적용, 제거 경험을 공유합니다.
tech.kakaopay.com
https://tech.kakaobank.com/posts/2311-hexagonal-architecture-in-messaging-hub/
유일한 멀티모듈 헥사고날 아키텍처 : 메시지 허브 적용기
안녕하세요, 카카오뱅크 고객인증개발팀 서버개발자 Kj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뱅크의 메시지 허브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모듈 헥사고날 아키텍처 사례를 소개합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
tech.kakaobank.com
https://youtu.be/g6Tg6_qpIVc?si=3DimusT1c4YLJm48
반응형'후기 > 책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코틀린 인 액션 (2) 2025.02.05 [후기] 클린 코더 (0) 2023.07.02 [후기]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 (0) 2023.04.25 [후기] 초보 웹 개발자를 위한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0) 2023.04.25 [후기]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0) 2023.03.01